왓챠피디아는 한국의 영화 추천 서비스이다.
왓챠피디아는 현재 네이버 영화의 별점DB를 제친 국내 최대의 문화 컨텐츠 백과사전이자 커뮤니티로 국내 1위의 영화추천 서비스로 나아가고자 노력중이다.
그러기 위해선 토대가 될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저의 유입과 별점DB데이터를 추구할 것이다. 이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는 추천받은 유저가 다시 돌아와서 다른 영화를 추천받거나, 영화에 대한 후기를 남기는지에 대한 유저 리텐션이 가장 중요한 핵심 성장 지표일 것이다.
다양한 DB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유저의 사용시간을 늘린다는 새로운 목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선 유저에게 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왓챠피디아는 나만의 아카이브를 만들어주지만, 유저들이 보여주고, 자랑할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오로지 링크만을 공유할수 있다.
왓챠피디아에는 별점을 매길때 위에 센스있는 문구들이 뜨거나, 취향 분석 최하단에 지금까지 총 시청시간을 보여주는 UI가 존재한다
이런 UI들을 한 화면에 모으고, 특정 단계마다 재치있는 칭호를 통해 보상을 준다면 유저들은 칭호를 위해서라도 더욱 어플에 오래 머무르면서 별점과 후기를 남길 것이다.
또한 마치 '런데이'처럼 유저들이 이런 센스있는 화면을 SNS에 올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홍보효과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후 SNS업로드수, 유입지표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할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왓챠 피디아의 PM이라고 생각하고 OKR을 한번 세워보겠다.
Objective는 최대한 팀원들 모두를 독려하며 크게 세우기 위해 이와 같이 세워보겠다.
왓챠의 OTT 국내 시장 점유율을 38%로 한다.
업계1위의 넷플릭스 점유율이 38퍼센트 임으로 40퍼센트로 목표를 잡았다.
뜬금없이 왓챠피디아에서 왓챠라고 생각할수는 있지만 왓챠피디아의 수익을 내는 것은 왓챠이다. 직원들의 사기 증진등 다양한 이유를 위해서라도 왓챠의 성과를 Objective로 둬야 할 것이다.
왓챠피디아의 많은 별점DB들은 물론 중요하지만 왓챠의 성장에 대한 허세지표로 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위한 Key results는 무엇일까?
1. 한달 신규 유입자 목표를 61만명으로 잡는다.
현재 다운로드율 1위의 앱은 쿠팡 플레이이다. 단기적으로 웨이브, 티빙, 디즈니 순으로 목표를 잡으며 이뤄나간다면 더욱 수월할 것이다.
2. 자체 컨텐츠를 28개 이상 만든다.
넷플릭스에 22년 10월 기준 현재 국내 자체 컨텐츠 수 28개를 목표로 잡았다.
또한 넷플릭스를 요즘 먹여 살리는 것은 K컨텐츠이다 넷플릭스에서 우영우 시리즈는 비영어 시리즈 부문에서 28개국 1위에 올랐고, 4억 200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해 4주 간 역대 6번째로 많이 시청한 비영어 시리즈가 되었다
이를 통해 해외의 유입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왓챠 피디아의 추천 엔진을 이용하는 이용자 소비를 90%로 늘린다.
현재 왓챠피디아의 추천 기능으로 영화를 소비하는 이용자는 70%라고 한다 이를 이용하여
왓챠 피디아의 영화 추천기능은 왓챠만의 독보적인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여 이용자 수를 늘려 점유율을 높인다.
사실 실제 왓챠의 주요 목표는 위와 같다.
'코드스테이츠_PMB > 데일리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페이 새로운 UX 도입해보기 (1) | 2022.11.09 |
---|---|
오늘부터 올리브영 블랙프라이데이 시작! (0) | 2022.11.08 |
사진 한장에서 국내 최대 온라인 편집샵까지 (0) | 2022.11.01 |
"현지인들은 그런말 안써요" 진짜 영어를 알려줄께, CAKE! (0) | 2022.10.31 |
"줄은 내가 설게, 밥은 누가 먹을래?" 테이블링 (0) | 2022.10.31 |